#3정5S #삼정5S
3정 5S
S는 영단어가 아니구요 일본발음 앞자를 따서 5S라고 합니다.
즉. 5S의 S는 정리, 정돈, 청소, 청결, 질서(習慣化)에서 얻어지는 효용의 머릿말입니다.
정리(整理-세이리-SEIRI) → 필요, 불필요 구분하여 불필요 없앰.
정돈(整頓-세이톤-SEITON) → 필요한것을 누구라도 항상
쓸수있게
청소(淸掃-세이소-SEISOH) →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활동
청결(淸潔-세이케츠-SEIKETSU) → 위3가지를 항상 유지,개선
하는것
습관화(仕付け-싯츠케-SHITSUKE) →결정된 규정,규칙을 지속적 으로 실시
■ 5요소(5S)의 정의
5S 정의 내용
정리 (arrangement) : 불필요한 것을 처분한다.
필요한 것과 불필요한 것을 구분하고 작업현장에는 필요한 것 이외는 일체 두지 않는 것. Slash Trash
정돈 (being in order) : 언제든 금방 사용할 수 있는 상태 필요한 것을 누구나 손쉽게 금방 꺼내 쓸 수 있도록
가지런히 정리하는 것. Erase Errors
청소 (cleaning) : 먼지, 오염원없는 상태로 작업현장을 먼지 하나 없을 정도로
말끔한 상태가 되게 가꾸는 것 Bust Dust
청결 (cleanliness) : 깨끗한 상태를 유지 정리, 정돈, 청소를 철저히 하는 것.
언제 누가 보아도, 누가 사용해도 불쾌감을 주지 않도록 깨끗히 해 두는 것. Stay Safe
질서 (discipline) : 정해진 규율을 지킨다 정해진 것을 정해진 대로 올바르게 실행할 수 있도록 습관화하는 것.
(매너, 마음가짐, 습관화) 직장의 RULE이나 규율을 준수하는 것. Combat Clutter
일반 가정에서는 필요 없나요?
한번 해 보세요.
관공서는 어떨까요?
게으르지만 않다면이야 더욱더 필요하겠죠?
■ 5요소의 효용
5요소를 철저히 실천하는 공장은 어떤 Merit? ... 5대 효용으로 정리해 보면,
Sales
5요소는 Top salesman 고객으로부터 깨끗한 공장이라고 칭찬받는다.
소문을 듣고 많은 사람들이 공장을 견학하러 온다.
이런 공장이라면 주문해도 안심이라는 마음이 든다.
이런 공장에서 일하고 싶어진다.
Saving
5요소는 절약가 5요소 작업장은 절약 작업장이다.
소모품이나 공구, 윤활유에서 작업준비, 시간, 작업시간까지 무엇이든지 절약된다.
Safety
5요소는 time keeper 생산 리드타임도 줄게 되므로 납기지연이 없다.
5요소는 안정의 software
넓고 밝고 훤히 트인 작업장, 물건의 흐름이 일목요연하다.
단쌓기(부품Box, 빈 용기 등) 제한을 준수한다.
교통위반을 하지 않는다.
복장, 보호구를 단정하게 또한 올바르게 착용한다.
Standardization
5요소는 표준화의 추진자 모두가 정해진 것을 올바르게 실행한다.
어느 작업장에 가든 즉시 작업할 수 있다.
품질, Cost는 안정되고 양품율 100%(Zero Defect)를 지향한다.
Satisfaction
5요소로 조성되는 즐거운 현장 밝고 깨끗한 작업장에는 Trouble이 없다.
작업장 전체에 개선의 무드가 조성된다.
작업자 전원이 합심하면 무슨 일이든 해 낼 수 있다는 자신감 넘치는 작업장 분위기.
1. 정리활동이란?
현장에서 일하는데 꼭, 당장 필요한 것만 있게 하는 것
• 당장 필요한 것(필요품)과
• 당장 필요하지 않는 것(불급품)과
• 영영 필요 없는 것(불용품)을 구분하여,
• 필요한 것은 채우고,
• 불필요한 것(불급품, 불용품)은 치운다.
정리대상 ① 공간, 치공구, 운반구, 작업도구, 환경, 작업장, 건물,
구축물, 설비, 제품, 공정 등 사람을 제외한 모든 것,
② 부분물, 부착물, 독립물
③ 유형, 무형
활동효과 : 환경 어수선함, 동작 손실, 재해 발생, 시간 손실, 공간
손실, 면적 손실, 불량 발생, 자금 낭비 등의 예방
활동순서 : ① 불필요한 것을 모아 두는 임시 장소를 정한다.
② 필요품, 불급품, 불용품을 하나하나 구분한다.
③ 불급품, 불용품을 임시 장소로 옮긴다.
④ 치우기 위한 판정을 한다.
폐기 - 쓰레기통으로 분리수거
매각
수리 재사용
반납
다른 곳에 쓰라고 준다. 다른 용도로 쓴다.
별도 보관(다음 활동인 정돈을 한다)
⑤ 판정 결과 대로 치우고, 리스트를 작성한다.
⑥ 필요한데 없는 것을 채운다.
⑦ 정리 불합리를 모두 체크리스트로 만들어(정리 유지 가기준서 작성)
재발 원인을 밝히고, 재발 방지 대책을 취한다.
⑧ 필요품 리스트를 만들고, 효과 파악을 한다.
2. 정돈활동
일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하는 것.
정돈대상 ① 현물 정돈 - 사용하기 편리하고 안전하게 물품을 배치하는 것
② 일의 정돈 - 일의 목적을 분명히 하고,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표준화 하는 것.
활동 효과 : 일의 능률 저하, 찾는 시간 낭비, 꺼내고 넣는 낭비, 움직이는 거리 낭비, 원가손실,
자금낭비, 재고 부담, 불량, 안전, 사기 저하, 작업 환경 등의 개선
① 현물 정돈 - 몸 가까이에
- 눈에 잘 보이게
- 손으로 집고 놓기 쉽게
- 발로 가고 오기 쉽게
- 정량, 정품, 정위치, 정렬
- 편리한 용기에
- 안전하게, 보기 좋게, 깨끗하게
- 눈으로 보는 관리, 눈에 보이는 관리
② 일의 정돈 - 어떤 일을 하고 있는가?
- 그 일은 왜 해야 하는가?, 꼭 필요한 일인가?
- 그 일은 가장 편리하고 안전하게 하고 있는가?
- 사람마다 산포(차이)는 없는가?
활동순서 : ① 정돈 불합리를 찾는다.
② 불합리 현상을 유형별로 분류(층별) 한다.
③ 자주 해결 건과 지원 의뢰 건을 나눈다.
④ 개선활동을 한다. 개선 활동은 시행 착오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가개선, 가제작으로 효과를 검증한 다음, 확대 적용한다.
⑤ 필요한 경우에는 눈관리를 한다.
⑥ 정돈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가 기준서를 만들고,
체크 시트로 체크하면서 부족한 것은 추가 개선한다.
⑦ 효과를 파악한다(시간, 거리, 횟수 등)
3.청소
청소활동이란? : 먼지와 더러움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하는 것
청소대상 : 작업장 주변, 설비 주변의 먼지, 더러움, 오염, 낙서 등
특히 사람의 건강, 안전에 문제되는 곳이나 제품이 만들어지는 곳에서
설비 고장이나 불량을 일으킬 수 있는 것.
활동효과 : 깨끗한 현장, 안전 위생이 있는 현장, 능률이 있는 현장, 고장 예방, 불량 예방 등
청소의 단계 : 1단계 - 깨끗하게 하는 청소
2단계 - 결함을발견하는청소
3단계 - 결함을복원•개선하는청소
활동순서
1단계 일상 청소의 실시
① 청소 대상을 결정한다 (My Area, My Machine)
② 청소 담당을 정한다.
③ 청소 방법을 정한다.
④ 청소 도구를 준비한다.
⑤ 청소를 실시한다.
2단계 청소점검의실시
① 청소 점검 대상을 결정한다.
② 청소 점검 담당자를 정한다.
③ 청소 점검 방법을 정한다.
④ 청소 점검을 실시한다.
3단계 청소보전의실시
①발견된결함을자신이즉시복원•개선한다.
② 본인이 할 수 없는 것은 보전 의뢰한다.(빨간 딱지 부착)
4.눈으로 보는 관리
눈으로 보는 관리란?
안전,정리, 정돈, 청소활동이끝난뒤, 현장•현물의 정상과 비정상이 인간의 오감에 전달 되도록 하는 방법.
눈관리 대상 ☆ 사람의 행동
☆ 설비의 상태
☆ 재료의양•불, 수량, 위치, 이름, 용도
☆ 치공구의양•불, 수량, 위치, 이름, 용도, 사용법
☆ 제조방법, 조건의 표준
☆ 생산의 진행상태, 간판
☆ 문서의보관등유형•무형 전반을 취급
눈관리 도구 : 테이프, 색, 문자, 숫자, 화살표, 이름표, 그림, 픽토그램, 사진, Pole대, 날림꼬리, 바람개비,
온도라벨, 페인트, 안돈, 음성신호, 그래프, Fool Proof 장치 등.
활동순서
① 해당 눈관리의 목적을 명확히 한다.
②목적을실현시킬“관리급소”를 정한다.
③“관리급소”를 눈관리 (가)도구를 (가)재료로 만들어 본다.
※ 눈 관리 도구의 포인트
멀리서도 잘 알 수 있다
관리하고자 하는 물건에 표시되어 있다.
좋은가 나쁜가를 누구라도 지적할 수 있다.
누구라도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면 편리하다.
누구라도 지킬 수 있고, 미비점을 즉시 고친다.
도구를 사용하면 직장이 밝아진다.
④ (가)도구를 (가)설치하여 (가)사용해 본다.
⑤ 미비점이 있으면 (가) 도구를 만족할 때까지 개량한다.
⑥미비점이없으면내구성재료로제작•설치•사용 한다.
⑦ 눈 관리는 회사 표준에 근거하여 사용한다.
※눈관리에는눈으로보는관리(의식적)와눈에보이는관리(무의식적)가있다.
5.청결활동
청결 활동이란?
정리•정돈•청소가 되어 있는 상태를 청결하다고 하므로 정리•정돈•청소를 습관화 하는 것은 물론이고,
불필요하게정리•정돈•청소를 하게 되는 재발원인을 제거 함으로서
유지하기 위한 행동 시간을 단축시키는 개선 활동을 말한다.
활동방법 :
① 안전•정리•정돈•청소•눈 관리 활동을 하고 나서
재발의 가능성이 있거나 효과가 미심쩍은 사례를 체크시트로 만든다.
②매일 체크하면서 재발되는 현상과 원인을 알아낸다.
③개선을 하여 유지 시간을 단축 시킨다.
④어쩔 수 없는 것은 습관화 한다.